무염 15

GSM이란?– 타올의 두께와 무게를 판단하는 가장 쉬운 기준

📐 1. GSM이란 무엇인가요?GSM = Grams per Square Meter즉, 1㎡의 천이 몇 그램인지를 말하는 단위예요.쉽게 말해,👉 수건을 정사각형으로 잘라 1㎡만 남겼을 때 그게 얼마나 무거운지를 수치로 나타낸 거예요. 예시의미300gsm1㎡당 300g → 얇고 가벼움600gsm1㎡당 600g → 두껍고 흡수력 좋음 🧮 2. 우리 타올은 몇 gsm일까? 모빅홈의 프리미엄 뱀부 타올은사이즈: 40cm × 80cm = 0.32㎡무게: 200g👉 GSM 계산은 이렇게 합니다: 📌 이 수치는 타올 기준으로 보면 중상급~고급 타올의 밀도예요.💡 3. GSM 수치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날까? GSM특징적합한 용도200~300gsm얇고 가벼움, 빨리 마름운동용, 여행용, 세안 타올350~50..

타올 2025.04.21

수건 30수, 40수, 50수… 타올?

📏 1. 수(Yarn Count)란?‘수’는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예요. 정확히는,“면 1파운드(약 453g)로 **얼마나 긴 실을 뽑을 수 있는가”를 나타낸 숫자예요.즉,✔ 숫자가 클수록 실이 가늘고 가벼움✔ 숫자가 작을수록 실이 굵고 묵직함 수의미굵기10수1파운드로 10 야드 뽑음굵고 무거움40수1파운드로 40 야드 뽑음가늘고 가벼움 📊 2. 수에 따른 타올 특징과 실제 제품 예시 수번촉감흡수력내구성건조 속도떠오르는 제품6~10수거칠고 두꺼움빠르지만 둔함매우 튼튼느림산업용 걸레, 바닥 타올16~20수다소 거칠고 무거움흡수 빠름강함늦음전통 찜질방 타올20~30수균형형 – 부드러움과 흡수력 조화중간적당히 강함평균대부분의 데일리 타올30수 부드럽고 흡수력 우수높은 편관리 용이표준고급 데일리, 유아용..

타올 2025.04.21

타올 실에 쓰이는 TPI(Twist Per Inch)

🧵 1. TPI란 무엇인가요?**TPI(Twist Per Inch)**는실이 1인치(2.54cm) 구간에서 몇 번 꼬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예요. 예시설명12 TPI실 1인치에 12번 꼬임 → 고강도, 밀도 ↑, 단단함 ↑4 TPI실 1인치에 4번 꼬임 → 느슨함, 부드러움 ↑, 흡수력 ↑📌 높은 TPI = 꼬임이 많다 = 실이 단단하고 밀도 높음📌 낮은 TPI = 꼬임이 적다 = 실이 부드럽고 통기성 좋음📊 2. TPI 수치가 타올에 미치는 영향 TPI 수준흡수력부드러움내구성건조력높음 (10 이상)↓ 낮음↓ 거침↑ 강함↑ 빠름낮음 (5 이하)↑ 높음↑ 부드러움↓ 약함↓ 느림 🧪 3. 왜 TPI가 흡수력에 영향을 줄까? TPI가 낮을수록 실이 느슨하게 꼬여 있고→ 섬유 사이 틈이 많아져→ 물이 더..

타올 2025.04.20

‘선염 vs 후염 vs 무염’

수건을 살 때 색상도 중요한 선택 기준이죠.하지만 단지 “예쁘니까” 고르는 게 아니라,📌 그 색이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졌는지도 따져봐야 합니다. 왜냐하면 수건의 염색 방식은✔ 촉감✔ 내구성✔ 피부 자극✔ 색 빠짐✔ 위생성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에요. 오늘은✔ ‘선염’, ‘후염’, ‘무염’이라는 세 가지 방식이타올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📘 섬유공학적 관점 + 사용자 관점에서 정리해드릴게요.🎨 1. 염색 방식의 기본 개념 용어설명선염(先染, Yarn-dyed)실(원사)을 먼저 염색한 후, 그 실로 직조후염(後染, Piece-dyed)직조된 원단 전체를 한꺼번에 염색무염(無染, Undyed)아예 염색하지 않고 원사 본연의 색을 그대로 사용 이 방식에 따라 타올의 ✔ 색감✔ 제작 난이도✔ 피부 반응..

타올 2025.04.19

부드러운 수건 - 뱀부 타올

🧪 1. 부드러움은 ‘마찰계수’가 결정한다 마찰계수(COE, Coefficient of Friction)는✔ 섬유가 피부에 닿을 때 얼마나 미끄럽거나 거친가를 나타내는 수치예요. 섬유 종류마찰계수 (Dry)마찰계수 (Wet)면(Cotton)0.35~0.400.25~0.30마이크로화이버0.30 이하0.20 이하뱀부 레이온0.22~0.270.15~0.20 ✅📌 뱀부 섬유는 표면이 매끈하고 실의 굴곡이 작아서 물기가 있을 때도 피부를 긁지 않고 ‘미끄러지듯’ 닿아요.🧵 2. 섬유의 ‘탄성’이 촉감에 미치는 영향 ‘부드럽다’는 느낌은 ✔ 섬유가 피부를 누르는 힘에 얼마나 부드럽게 반응하는지와도 관련 있어요. 뱀부 섬유는✔ 비스코스 구조이면서✔ 실 자체에 유연성이 있어✔ 눌렀다 뗐을 때 빠르게 원형 복원이 ..

타올 2025.04.17

수건 하나로 피부 pH를 지킬 수 있다

🧪 1. 피부의 pH는 왜 ‘약산성’이어야 할까? 건강한 피부는 pH 4.5~5.5 사이의 약산성 상태를 유지해요.이유는 간단해요. ✔ 병원균은 대부분 중성~알칼리 환경에서 활성화되는데,✔ 피부가 산성일수록 세균과 바이러스의 활동이 억제되기 때문이에요. 또한 피부에는🧴 ‘천연보습인자(NMF)’와 ‘지질막’이 존재하는데,이들은 약산성 상태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. 📌 즉, 피부가 약산성일 때✔ 유수분 밸런스 유지✔ 자극에 대한 방어력 향상✔ 세균 증식 억제이 세 가지가 동시에 가능해져요.🧼 2. 일반 수건이 pH 밸런스를 무너뜨리는 과정 다음과 같은 조건이 겹치면수건은 오히려 피부를 ‘알칼리화’시켜요. ❌ 1. 알칼리성 세제로 세탁 → 세제 잔여물이 섬유에 남음 → 피부와 접촉 시 pH 중화..

타올 2025.04.16

뱀부 섬유는 왜 항균 기능이 있을까?

수건을 고를 때 '향균기능 있음'이라는 문구,많이 보셨을 거예요. 대부분은✔ 은이온(Ag+)✔ 항균 가공 코팅✔ 나노처리 섬유등을 인공적으로 처리해서 항균 효과를 만듭니다. 그런데 뱀부 섬유는 이런 처리를 하지 않아도자연적으로 항균 효과를 지닌다고 알려져 있어요.이 항균성의 핵심은 바로 ‘쿤(Kun)’이라는 성분입니다. 그렇다면📌 ‘쿤’은 무엇이고📌 뱀부 섬유에 어떻게 존재하며📌 얼마나 오래, 어떻게 작동할까요? 지금부터 깊이 있게 설명해드릴게요.🧪 1. ‘쿤(Kun)’은 대나무 자체의 방어 물질 대나무는 정글이나 습지 같은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곰팡이나 세균에 쉽게 썩지 않는 식물이에요. 이 생존 전략의 핵심이 바로 **쿤(Kun)**이라는 항균물질이에요. 📌 쿤(Kun)의 정체는?쿤은 대나무 ..

타올 2025.04.15

뱀부 타올의 ‘흡수력’은 왜 특별한가?

수건의 흡수력은 단순히 “잘 젖는다”로 설명할 수 없어요. 진짜 중요한 건✔ 물분자가 섬유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✔ 섬유 내부로 수분이 얼마나 깊게 침투하는가✔ 그 구조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가에 있어요. 이 조건들을 ‘과학적으로’ 충족시키는 대표적인 섬유가 바로 뱀부(Bamboo Rayon)예요. 🧪 1. 뱀부 섬유의 단면 구조: 흡수력의 물리적 출발점 뱀부 레이온(비스코스)은 천연 셀룰로오스를 원료로 하되,화학적으로 재가공되어 만들어져요.그 결과, 뱀부 섬유는 다음과 같은 물리적 단면 구조를 갖게 됩니다. ✔ 다공성(Porous) + 중공(Hollow) 구조뱀부 섬유 단면은 현미경(Microscope) 상에서‘스펀지처럼 미세한 공극’이 존재하는 구조로 확인됩니다.이는 **모세관 작용(capillary..

타올 2025.04.15

수건의 루프(파일)는 왜 중요한가?

수건을 고를 때 우리는 종종"부드러워요?" "도톰한가요?" 정도만 따져요. 하지만 정작 그 수건의✔ 촉감✔ 흡수력✔ 사용감✔ 수명을 좌우하는 핵심은 따로 있어요.바로 **‘루프(파일) 구조’**예요. 🧵 루프(파일)란? 수건의 ‘털’이 만드는 기능 수건 표면을 자세히 보면고슬고슬 솟아오른 실들이 보이죠?그게 바로 루프(Loop), 혹은 파일(Pile) 이에요. 이 루프 하나하나가 흡수력의 단위이자, 촉감의 본체예요. 📌 루프가 많고, 길고, 안정적으로 짜여 있으면 → 흡수력과 부드러움이 뛰어나고 → 수명도 길어져요.📐 루프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세 가지 핵심 기능 1️⃣ 촉감 – 피부에 닿는 첫 느낌루프의 밀도와 배열이✔ 부드럽고 정돈돼 있으면 → 자극 없이 ‘폭신한 감촉’을 줘요 반면 루프가❌ 엉..

타올 2025.04.11

아이 있는 집, 수건은 더 특별해야

👶🏻 아이 피부는 왜 ‘수건에 민감’할까?성인과 아이의 피부는 구조적으로 완전히 달라요. 🧪 ① 각질층 두께는 약 30% 얇음→ 피부를 보호하는 장벽이 약하다는 뜻이에요. 🧪 ② 땀샘·피지선이 덜 발달→ 피부 스스로 수분을 조절하거나 방어막을 만드는 능력이 부족해요. 🧪 ③ 표피와 진피를 잇는 연결구조가 약함→ 외부 자극이 진피층까지 쉽게 전달돼 염증 유발 가능성↑ 📌 이 때문에 조금만 거친 면이나, 잔털·보풀에도 피부가 금세 반응할 수 있어요.😨 잘못된 수건 선택이 부를 수 있는 문제 수건은 입에도 닿고, 눈에도 닿고, 뺨을 문지르기도 하죠.그래서 소재나 처리 방식이 잘못되면 직접적인 자극이 생깁니다. 🚫 형광증백제가 들어간 수건→ 미세 잔류물이 피부에 닿으면 염증 반응 가능→ UV에 반..

타올 2025.04.10